VNL 2025: 한국 벨기에전 아쉬운 패배

2025 VNL 벨기에 전.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은 1세트를 내주었지만 2세트에 빠르게 반격했고 3세트에서 치열한 듀스 전을 치렀다. 3세트의 듀스 접전은 인상적이었지만 29-31로 졌고 끝내 경기는 1-3으로 내주고 말았다.

VNL 2025: 한국 벨기에전 아쉬운 패배
자료 출처 : https://en.volleyballworld.com/volleyball/competitions/volleyball-nations-league/schedule/21606/#matchsummary

2025년 6월 20일, 이스탄불 시난 에르뎀 돔에서 대한민국과 벨기에의 VNL 2025 2주차 경기가 시작됐다. 벨기에는 2023년 강등된 이후 2024년 FIVB 챌린저 컵 우승을 통해 2025 VNL에 재진입한 만큼 이번 경기를 이기겠다는 의지가 강했다. 브리트 허버츠를 중심으로 한 탄탄한 외곽 공격진, 세터 3인 체제를 통한 유연한 전술, 그리고 높이와 경험을 갖춘 미들 블로커진은 벨기에 팀의 만만치 않은 전력이다. 세계 랭킹은 18위. 결론부터 말하자면 벨기에는 이 경기 후 세계 랭킹을 1계단 끌어올렸다.

한국은 2025년까지는 자동 출전권이 있어 전년도 실적과 상관없이 VNL에 출전해왔지만 올해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졌다. 국제배구연맹(FIVB)이 VNL 참가국 간의 경쟁 강도를 높이기 위해 강등제를 본격 시행했고 이에 따라 이번 VNL 최하위 팀은 다음 해 챌린저 컵 우승팀에게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

이 변화로 인해 한국은 잔류를 장담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고 그렇기에 비교적 약팀(!)인 벨기에 전은 꼭 이겨야 할 경기였다. 하지만 이 날, 네 세트의 교차하는 흐름 속에서 한국은 쓰라린 1-3 패배를 기록했다.

1세트 – 서브에서 밀리고, 흐름을 빼앗기다

경기의 포문은 벨기에가 열었다. 티 라토비치와 브리트 허버츠를 앞세운 강한 서브가 한국 수비를 거세게 흔들었다. 벨기에는 서브로 시작해 블로킹과 리듬 조절까지 전방위에서 경기를 주도했다. 초반부터 이어진 점수차는 한국의 전열을 정비할 시간을 허락하지 않았다.

한국은 신장의 열세를 보완할 만한 빠른 연결과 수비 전환을 시도했지만, 벨기에의 조직적인 블로킹에 묶이며 공격 흐름이 둔화되었다. 첫 세트는 16-25. 경기 시작 24분 만에 분위기는 완전히 벨기에로 기울었고, 한국은 첫 세트부터 심리적 부담을 떠안게 됐다.

2세트 – 김다인의 이단 패스페인팅, 흐름을 깨뜨리다

그러나 2세트에 반전이 일어났다. 김다인 세터가 펼친 과감한 이단 패스페인팅 플레이는 벨기에 블로커들의 허를 찔렀고, 상대 수비라인의 균열을 만들어냈다. 점차 살아난 한국의 수비와 속공 조합은 벨기에를 당황하게 만들었고, 블록 포인트에서도 한때 우위를 점할 만큼 흐름이 달라졌다.

선수들은 1세트의 흔들림을 씻고 다시 집중력을 되찾았다. 박진감 넘치는 랠리 속에서 끈질긴 수비와 영리한 배치가 이어졌고, 결국 25-23으로 세트를 따내며 경기는 원점으로 돌아왔다. 이 순간, 승부는 다시 균형을 맞춘 듯 보였고 이번 경기도 캐나다 전처럼 "해볼 만하다"는 기운이 감돌았다.

3세트 – 모든 것을 쏟아부은 듀스의 드라마

3세트는 이날 경기의 핵심이었다. 한국은 초반 리드를 잡으며 분위기를 끌어왔고, 정호영의 미들 블로킹은 결정적인 흐름 차단 역할을 수행했다. 양 팀은 20점대 중반부터 매 포인트를 주고받으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접전을 펼쳤다.

26-26 에서 브리트 허버츠가 강서브를 시도했고 한국 수비는 이를 받아내는 데 성공했으나 결정적인 마무리에서 흐름을 잇지 못했다. 한국은 이 세트에서 네 번의 세트 포인트를 지켜내며 끈질기게 싸웠지만 듀스의 마무리를 상대에게 넘겨주면서 기세를 잃고 말았다. 참으로 안타까운 게임이었다.

4세트 – 체력과 흐름, 두 가지를 모두 잃다

3세트의 소모전은 한국에게 뼈아픈 대가로 돌아왔다. 4세트 초반부터 벨기에는 다시 서브와 공격에서 압박을 강화했고, 한국은 흐름을 되찾지 못한 채 밀리기 시작했다. 집중력 저하와 체력 저하가 맞물리며 점수 차는 점점 벌어졌고, 무기력한 흐름이 코트에 감돌았다.

세트 스코어 12-25. 네 번째 세트는 사실상 일방적인 전개였다. 세트를 따낸 벨기에는 경기를 마무리했고, 한국은 패배했다. 경기력으로는 뒤지지 않았지만, 체력과 결정력에서 미세한 균열이 패배로 이어졌다.

잘 싸웠지만 ‘한 세트’에 눈물 흘린 밤

지난 번 캐나다와 경기를 이긴 후의 자신감이랄까. 한국 여자배구 팀은 잘 싸웠다. 포기하지 않았고 투지로 맞섰다. 특히 2세트의 반격과 3세트의 듀스 접전은 한국 팀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결정적인 고비를 넘지 못했고 승점도 얻지 못했다.

경기는 졌지만 강소휘, 이선우, 정호영 등 핵심 선수들의 분전은 희망도 보여줬다. 남은 경기에서 한국이 이 희망을 현실로 끌고 갈 수 있다면 VNL 잔류 여부를 넘어 다음 시즌의 밑그림이 될 수도 있다. 중요한 건, 경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