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시작하는 순간, rendez-vous

마음이 시작하는 순간, rendez-vous
rendez-vous

마음은 어디에서 시작하는가. 마음은 어느 한순간 우연처럼 시작하지만, 실상은 보이지 않는 인연의 실타래가 건드려진 결과다. 실타래를 더듬으며 마음은 풀렸다가, 다시 얽히고 또 풀렸다가, 다시 얽힌다. 심지어 끊어진다. 잠시 주춤하기는 해도 마음은 다시 이어지길 시도한다. 결국 실타래는 우리를 하나의 지점으로 이끈다. rendez-vous는 마음의 움직임과 존재의 경험을 설명하는, 번역하기 어려운 단어다.

마음은 어디에서 시작하는가

rendez-vous는 단순한 만남이 아니다. 그것은 특정한 시간과 장소를 향한 의지의 표현이며, 타자와의 관계를 의식적으로 받아들이는 행위다. 그 안에는 기대와 설렘, 불안과 망설임, 확신과 회의가 뒤섞여 있다. 이 ‘만남의 감정’은 인간 내면 깊숙이 자리한 소속감, 애착, 인정 욕구 등과 연결된다. 누군가와 rendez-vous 한다는 것은 단지 물리적으로 만나는 것을 넘어, 감정의 시간을 공유하고 관계의 리듬을 맞춘다는 뜻이다.

심리적으로 rendez-vous는 시간과 공간을 구조화하며 일상의 의미를 새롭게 만든다. 그 약속을 중심으로 우리는 하루를 준비하고, 그 만남을 기다리는 동안 삶은 미래 지향적으로 재구성된다. 하이데거가 말한 “현존재(Dasein)”처럼, 인간은 미래를 향해 존재하는 존재(Sein und Zeit, 1927)이며, rendez-vous는 바로 그 미래의 한 점을 현재로 끌어당긴다. 단순한 만남이 아니라, 존재의 방향성과 의미를 부여하는 시간적 사건인 것이다.

행복은 어디에서 시작하는가

그렇다면 그 만남에서 비롯되는 감정, 곧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흔히 마음은 “너를 행복하게 해주고 싶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 말이 큰 실수라는 걸 시간이 지난 후에야 깨닫는다. 행복을 주려고 노력했던 마음들, 시간들, 비용들이 어느 순간 더 이상 행복하지 않다는 걸 느낀다. 그리고 배신감을 느낀다. 내가 이렇게 했는데, 왜. 뒤집어 보면 답이 있다. 행복은 누군가 준다고 생기는 게 아닌 까닭이다. 

진정한 행복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마음 속에서 저절로 피어나는 존재다. 마음이 만나는 순간, 마음의 진동에서 행복은 시작한다. 원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 자체에 감사하고, 그와 함께하는 순간에 충실할 때 비로소 행복은 저절로 피어난다. 행복은 관계 속에서 태어나 내면으로 스며드는 정서다.

만남이 반복되면서 관계는 깊어지고, 신뢰는 쌓인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rendez-vous 하자는 것은 단순히 함께 시간을 보내자는 것이 아니라, 너와 나의 존재를 다시 한 번 확인하자는 뜻이기도 하다. 그것은 “너를 보고 싶다”는 감정의 선언이자, “너와의 시간에 나의 존재를 걸겠다”는 고백이다.

우리는 존재했고, 행복했으므로 

행복을 억지로 만들 수 없듯, 진정한 만남 또한 인위적으로 구성될 수 없다. 의미 있는 rendez-vous는 자발적 의지의 표현이며, 그 안에는 존중과 기다림, 불확실성을 감수할 준비가 포함되어 있다. 이 만남은 곧 행동의 철학이고, 존재의 윤리이며, 삶의 감정이다. 그것은 인간이 얼마나 복합적이고, 동시에 아름다운 존재인지를 증명한다.

결국, 마음은 ‘rendez-vous’라는 이름으로 시작된다. 그 만남은 미래의 가능성을 품은 현재의 사건이며, 상대와 함께 존재함으로써 내 삶의 의미를 찾게 해주는 시간이다. 그래서 우리는 여전히 서로 약속을 기대하고, 기다리며, 그 자리로 걸어간다. 우리는 서로에게 존재했고 그래서 행복했으므로. 

PS> 웃기지만, 이 글은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 중인 연극 '랑데부'의 후기다. 공연 기간은 2025-04-05(토) ~ 2025-05-11(일).

Read more

구글 네스트에 제미나이 적용, 스마트홈 미래될까?

구글 네스트에 제미나이 적용, 스마트홈 미래될까?

구글이 제미나이를 스마트 스피커에 통합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실제 구글 네스트와 아마존 알렉사 이용자가 느낀 기대와 현실. 지금까지는 ‘오늘 날씨’가 전부였던 AI 스피커와의 관계가, 제미나이를 통해 어떻게 바뀔 수 있을지에 대한 냉정한 상상과 희망, 그리고 걱정을 담았다. 기술보다 중요한 건 결국, 내 삶이 얼마나 달라지느냐는 것이다.

By Ray Awes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