둠패트롤 - 망가진 슈퍼히어로, 그러나 우리 모두의 이야기

슈퍼히어로의 탈을 쓴 감정 해부극 — 둠패트롤은 상처 입은 초인들의 이야기이자, 우리 모두의 내면에 숨어 있는 불완전한 인간 군상의 초상이다.

둠패트롤 - 망가진 슈퍼히어로, 그러나 우리 모두의 이야기
Doom Patrol (image by Midjourney)
슈퍼히어로 드라마? 아냐, 이건 감정의 정크푸드야.

DC의 "둠패트롤(Doom Patrol)"은 슈퍼히어로물의 탈을 쓴 감정 해부극이다. 온갖 기괴하고 불완전한 초능력자들이 등장하지만, 그들 모두의 공통점은 딱 하나다: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있는가?" 그 질문 하나를 품고, 이 드라마는 4시즌 동안 인간 심리의 가장 아픈 층위를 비집고 들어간다.

감정의 탈진지대에서 살아남은 사람들

둠패트롤의 구성원들은 히어로라기보다 감정적으로 탈진한 사람들이다. 리타는 실패한 배우로서 자격지심과 자기혐오에 시달리고, 제인은 다중인격 장애를 통해 트라우마를 분산시켜야만 살아남는다. 래리는 자신의 정체성과 가족을 동시에 잃고, 클리프는 육체를 잃은 채 감정만 남아버린 존재다. 사이버그, 빅조차도 완벽한 인간도 완전한 기계도 아니라는 경계인으로서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다.

이들은 늘 서로를 불편해하고 감정을 회피하며 협력보다는 도망에 가까운 관계를 이어간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 불완전한 상태로 함께 버티는 것이야말로 이 팀의 진짜 초능력이다. 그들은 서로에게서 구원을 찾지 않는다. 그저, 서로의 옆에 남아 있는 것을 선택한다.

심리학이 말하지 못한 감정의 서사

둠패트롤은 인간의 정서를 한 편의 실험극처럼 다룬다. '사랑받을 자격 없음'이라는 내면의 신념은 각 인물의 외형과 능력으로 극단화된다. 하지만 시즌이 지나면서 드러나는 건, 이들이 서로를 통해 조금씩 자기 자신을 다시 바라보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리타는 감정적으로 리더가 되길 갈망하지만, 과거의 실패와 상처에 눌려 늘 뒷걸음친다. 그러나 루즈에게 배신당한 후에도, 결국 그녀를 용서하는 선택을 한다. 이는 단순한 화해가 아니라, 리타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고 품기로 한 진화다. 제인은 '칼레이도스코프'라는 통합된 자아를 통해, 인격의 분리와 파편화를 넘어선다. 그건 치유가 아닌 공존의 선언이다.

이처럼 둠패트롤의 감정 곡선은 통합을 향한 서사다. 그것은 "완전히 나아졌다"가 아니라, "이제 나와 함께 살아갈 수 있다"는 상태다. 심리학이 말하는 '회복'이 아니라, 이 드라마는 '수용'이라는 태도를 이야기한다.

우리는 모두 둠패트롤이다

이 드라마의 가장 섬뜩하고도 위로되는 지점은 이것이다. 어느 순간, 우리는 이 기괴한 메타휴먼들의 심리 상태에 감정이입하고 있다는 것. 피플패플 같은 허무하고 미묘한 언어는 현실 세계의 탈진한 우리 정서의 요약처럼 들린다.

둠패트롤은 결국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서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께 있는 걸 선택할 수 있다."

슈퍼히어로물의 탈을 쓴 이 감정 괴작은, 그렇게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정말 괜찮냐고. 그리고 지금 옆에 있는 사람이, 사실은 당신이 가장 두려워했던 감정의 거울일 수 있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망가진 팀은 끝까지 서로를 포기하지 않았다.

그건 정의가 아니다. 그저 인간일 뿐.

Read more

구글 네스트에 제미나이 적용, 스마트홈 미래될까?

구글 네스트에 제미나이 적용, 스마트홈 미래될까?

구글이 제미나이를 스마트 스피커에 통합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실제 구글 네스트와 아마존 알렉사 이용자가 느낀 기대와 현실. 지금까지는 ‘오늘 날씨’가 전부였던 AI 스피커와의 관계가, 제미나이를 통해 어떻게 바뀔 수 있을지에 대한 냉정한 상상과 희망, 그리고 걱정을 담았다. 기술보다 중요한 건 결국, 내 삶이 얼마나 달라지느냐는 것이다.

By Ray Awes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