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음체질 적응기 #1 : 콩을 피하라고?

8체질 한의원에서 금음체질 진단을 받은 후, 평생 건강식이라 믿어온 콩을 피하라는 말을 듣고 식탁이 뒤흔들린 한 사람의 적응기. 콩을 끊는다는 건 음식보다 믿음을 바꾸는 일이었다.

금음체질 적응기 #1 : 콩을 피하라고?

8체질 한의원에서 금음체질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폐와 대장이 강하고 간과 담이 약한 구조란다. 뭐, 고개는 끄덕였지만 언뜻 듣고 감은 잘 안 온다. 하여튼 체질이 그러하니 체질에 맞는 음식을 섭취하고 체질침을 맞으면 좋다고 했다. 알겠다. 그런데 문제는 체질에 맞지 않는 음식에 콩이 들었다는 거다.

콩을… 피하라고? 그 말을 듣는 순간, 나는 우리 집 밥상을 쭉 스캔했다. 일년에 삼백 일은 콩을 넣은 잡곡밥을 먹고, 두부가 숭숭 들어간 된장찌개는 우리 집 식탁의 기본 중 기본이다. 심지어 된장은 엄마가 직접 메주를 쑤어 만들어서 비교할 수 없는 맛이다.

솔직히 콩은 건강의 대명사 아닌가? 식물성 단백질의 왕좌, 고기를 줄이고 싶을 때 대안으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식품. 된장은 장 건강에 좋고, 두부는 칼로리가 낮고 포만감은 크며, 콩나물은 해장과 피로회복에 좋다고 했다. 심지어 ‘하루 한 줌의 콩이 심장을 살린다’는 문장도 어딘가에서 본 적 있다. (정확한 출처는 모른다) 그래서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콩은 무조건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고 콩을 안 먹는 주변 사람들을 안타깝게 바라보곤 했다. 그런데 내 체질에 맞지 않는다니.

“콩을 피하라는데요?” 한의원에서 준 인쇄물을 엄마에게 줬더니, 이번에는 엄마가 폭탄을 맞았다. “아니, 밥은 그렇다 치고 반찬은 뭘 하란 말이니?”

금음체질에게는 콩과 관련된 곡물 특히 메주콩, 흑태, 강낭콩, 완두콩, 서목태, 서리태 등은 피해야 하고 콩으로 만든 두부, 콩나물, 콩식용유 등도 피해야 한단다. 이유는 콩이 간을 과도하게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간이 원래 약한 체질인데 거기에 간을 자극하는 음식을 넣으면 체질의 균형이 무너진다는 거다.

체질식을 실천한지 이제 이틀 됐다. 당연히 아직 큰 변화는 없다.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백미는 맛있지만 두부와 콩나물, 된장국을 뺀 식사는 어딘가 허전하다. 간이 약한 체질이란 건 알겠지만, 그걸 체감하긴 아직 이르다. 그저 습관처럼 먹어왔던 식재료를 의식적으로 멈춰야 하는 낯설음과 뭔가 빠진 듯한 식탁 위에서 ‘이게 맞는 건가’라는 질문을 조용히 삼킬 뿐이다.

당연히 이런 생각도 든다. 맛있는 걸 못 먹고 오래 사느니 잘 먹고 좀 덜 살란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이란 게 그게 아니더라. 나이가 들면서 온 몸이 구석구석 속을 썩이기 시작하면 어떻게든 나아지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 법이니까. 지금은 그저 매일같이 먹던 걸 못 먹는 불편함보다 내 몸을 방치했다는 불안함이 조금 더 크다. 그러니 결국 유명하다는 8체질한의원을 찾아간 것 아니겠는가.

Read more

구글 네스트에 제미나이 적용, 스마트홈 미래될까?

구글 네스트에 제미나이 적용, 스마트홈 미래될까?

구글이 제미나이를 스마트 스피커에 통합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실제 구글 네스트와 아마존 알렉사 이용자가 느낀 기대와 현실. 지금까지는 ‘오늘 날씨’가 전부였던 AI 스피커와의 관계가, 제미나이를 통해 어떻게 바뀔 수 있을지에 대한 냉정한 상상과 희망, 그리고 걱정을 담았다. 기술보다 중요한 건 결국, 내 삶이 얼마나 달라지느냐는 것이다.

By Ray Awesome